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은 대한민국 부산에서 시작하여 북한, 러시아, 카자흐스탄을 거쳐 러시아 모스크바까지 연결되는 국제 간선 도로이다. 대한민국 구간은 국도 제7호선을 이용하며, 부산에서 강원도 고성까지 이어진다. 북한 구간은 원산금강산고속도로, 국도 제7호선 등을 경유하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을 거쳐 최종적으로 러시아 모스크바까지 연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 - 동해대로 동해대로는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이어지는 국도로, 국도 제7호선과 상당 부분 중복되며,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이며, 북한과의 접경 지역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는 구간도 존재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로 - 국도 제7호선 국도 제7호선은 부산광역시 중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확장 및 개량 공사를 거쳐 전 구간 4차선으로 확장되었으며, 주요 도시들을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중국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은 아시아를 동서로 연결하는 총 연장 20,577km의 국제 간선도로망으로, 여러 국가를 거치며 경제 발전과 국제 교류에 기여하지만, 정치적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등의 문제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국의 도로 -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 아시안 하이웨이 7호선은 러시아에서 파키스탄에 이르는 국제 간선 도로망으로,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한 8개국을 통과하며 아스타나, 타슈켄트, 카불, 카라치 등의 주요 도시를 연결한다.
30px국도 제301호선은 후룬베이얼 시 하이라얼 구 하이라얼둥 나들목에서 만저우리시 만저우리 출입국 검문소까지 이어진다.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 국경 간 통과 지점은 이며, 중화인민공화국과 러시아의 또 다른 국경 통과 지점은 이다.
2. 5. 러시아 (시베리아)
30px 러시아 연방도로 A350호선은 자바이칼 변경주 자바이칼스키군/Zabaykalsky District영어 자바이칼스크에서 치타까지 이어진다. 중국 국경에서 자바이칼스크를 거쳐 치타에 이르는 구간이다.
시베리아 횡단 도로는 치타에서 첼랴빈스크주 첼랴빈스크까지 연결된다. 치타에서 울란우데와 이르쿠츠크를 경유하는 구간은 30px 러시아 연방도로 R258호선(Baikal Highway)에 해당된다. 이르쿠츠크에서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크라스노야르스크까지는 30px 러시아 연방도로 R255호선이 연결된다. 이르쿠츠크~크라스노야르스크 구간의 러시아 연방 도로 R255 크라스노야르스크에서 옴스크주 옴스크를 거쳐 이실쿨스키군/Isilkulsky District영어까지 이어지는 도로는 30px 러시아 연방도로 R254호선/R254 highway (Russia)영어이다.
노보시비르스크에서 옴스크, 이실쿨까지는 러시아 연방 도로 R254 노선으로 이어진다.
2. 6. 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에서는 M51 고속도로가 아시안 하이웨이 6호선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도로는 북카자흐스탄주를 통과하며, 페트로파블, 카라코가(Karakoga), 치스토예(Chistoe)를 경유한다. 카자흐스탄과 러시아 국경 통과 지점의 좌표는 북위 54° 55′ 17.2″ 동경 70° 59′ 18.3″이다.
2. 7. 러시아 (서부)
러시아 연방도로 R254 : 쿠르간주 페투홉스키군에서 시작하여 첼랴빈스크까지 이어진다.
|30px]] 러시아 연방도로 M5 : 첼랴빈스크에서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 지점을 지나 바시키르 공화국 우파, 사마라주 사마라를 거쳐 모스크바주 모스크바까지 이어진다.
|30px]] 러시아 연방도로 M1 : 모스크바에서 모자이스크, 스몰렌스크주 가가린, 스몰렌스크를 지나 벨라루스 국경의 크라스노예까지 이어진다. 벨라루스 국경에서는 M1 고속도로와 접촉한다.
[1]
웹사이트
Intergovernmental Agreement on the Asian Highway Network
https://www.unescap.[...]
United Nations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24-11-22
[2]
웹사이트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UNESCAP
2013-01-07
[3]
웹인용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UNESCAP
2012-05-11
[4]
문서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 대한민국 구간
[5]
문서
7번 국도
[6]
문서
M60 간선도로
[7]
뉴스
부산광역시 고시 제2017-423호 부산광역시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http://news.busan.go[...] [8]
문서
기장군 정관읍 경유
[9]
뉴스
부산광역시 기장군 공고 제2002-526호, 제2007-382호 노선 인정(변경) 공고
http://news.busan.go[...] [10]
뉴스
울산광역시고시 제2001-40호 울산광역시 도로명 제·개정 고시
[11]
뉴스
울산광역시 도로노선의(지정, 변경, 폐지) 고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